[연세대
(HASS,EIC),고려대(국제인제),고대세종(글로벌스포츠인재) 한국외대 (외국어특기자 ),경희대 (실기우수자 ),국민대
(어학특기자 ),숙명여대 (숙명글로벌인재),성신여대 (어학우수자),총신대(외국어우수자) ,한림대(국제학부),인하공전 ]
어학특기자,영어특기자,영어우수자,글로벌전형,시사면접,대입면접,대입수시면접,자기소개서,자소서
EB 대입수시 영특 한국어+영어 면접반 2차 개강 수시모집 (9월17일 2차 개강)
영특대학면접이 끝나는 11월 초까지 면접수업이 이어질 예정입니다(9월24일 추석당일만 쉽니다)
이비학원은 9월24일 추석당일만 쉽니다
2019학년 영특전형 면접반 수시모집
오후반 2:00~5:00 면접수업
저녁반 19:00~22:00 면접수업
full time =매일 수강하는 학생은 일일수강료가 35000원이며
part time = 주 월수금과 같은 part time 수강학생은
일일수강료가 40000원 입니다
주중 정규오후반 A 201 = 4 주 [19일]= full time 비용 665000원
[시간 PM 2:00~5:00] [9월24일 월요일 추석당일만 쉽니다]
주중 정규저녁반 A 201 = 4 주[19일] = full time 비용 665000원
[시간 PM 7:00 ~ 10:00][9월24일 월요일 추석당일만 쉽니다]
첫번째 주중통합 한국어 + 영어 혼용 면접반 [ 4 주 ]
1) 기간 : 9월17일 (월요일 ) ~10 월 12 일 (금요일 )까지
2) 수업내용 : 학원에서 8개월동안 준비한 교재를 중심으로 심도깊은 lecture 와 1 대 1 인성 질문이 혼합 되어 시간이 배분될 예정입니다 )
=>4주학원비(추석당일 9월24일 월요일만 쉽니다) =665000원
(본 과정은 수시 입반이 가능 합니다 .)
(면접교재비 50,000 는 따로 추가됩니다 )
★週 3 일 또는 週 2 일도 수강 가능
(단 fulltime 이 아닌 관계로 1 日 4 만원씩 계산됨 )
[교제 ]
학원에서 8 개월간 준비한 EB 2018 년 중요시사 120 제 / 4 주에 대략 120 개 topics [보통 한 topic 강의시 깊이있고 알찬 주제 강의로 그 topic 에서 파생된 다양하고깊이있는 여러문제에 대한 답변을 완벽하게 할정도의 범위 ]를 찬반 (贊反 ) 내용과 영어로 번역까지 완료된 BOOK &EB 합격생 족보를 이용한 영어 PQ 교재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어떠한 질문에도 답변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습득가능
-영어 PQ 교재 = \10,000
-올해 시사 한주에 30 개 topic 다룸 = ₩30,000
-4 週 면접 교재 total 비용 = 1 만원 (영어 PQ 교제 )+4 만원 (올해시사교제 )= ₩50,000 = 총 교재비 .
-자소서 교재 3권은 bonus로 무료 지급됩니다.
*주 3 일도수강가능 (단 full time이 아닌 관계로 하루 4 만원씩계산됨 )
lecture(강의) + 1 대 1 질문 상세한 내용설명
이시기 Lecture(강의) 내용은
1) 2018 년 최신시사와 시사예상문제위주로 진행됨
1 대 1 질문 1) 각각의 학생의 대학과 학과에 관한 자료를 각각의 학생이름 으로 된 개인폴더에 넣어 관리하며 모든 서류 내용은 학생에게도 카피본 을 직접서류용 파일에 넣어서주며 매주 주말에 각각의 학생에게 꼭 필요한 자료를 update해 학생에게 계속해서 제공할 것 입니다 .
실전면접과 똑같이 선생님이 man to man 으로 각각의 학생에게 질문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 수업진행 중 각개인의 모든 질문 과 대답은 각개인의 이름으로 켐코더로 녹화되며 당일 수업후 메일로 보내어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자기 자신의 면접향상정도를 직접 눈으로 볼수있음 , 또한 자기가 지원한학과 위주로 각 대학의 면접유형을 학원에서 준비한 자료를 바탕으로 면접을 대비함 .
2019학년 영특 각대학 면접 유형
고려대 국제인재 => 한국어 면접
연세대 UD => 영어지문을 이용한 심층면접 &일반면접 모두 영어
연세대 HASS => 영어지문을 이용한 심층면접 =>한국어 + PQ 일반면접 =>영어면접
연세대 EIC[연세인재 ] => 영어지문을 이용한 심층면접 => 영어면접 (시사관련 문제 )
경희대 글로벌 실기 우수자 국제학부 => 한국어면접 + 영어 면접
한국외대 외국어특기자 => 영어면접
숙명여대 숙명글로벌 인재 => 한국어면접 + 영어면접
국민대 어학특기자 KMU => 한국어면접 + 영어 시사 면접
총신대 외국어우수자 (영어 )=> 신앙 & 인성 한글면접 + 전공적성 영어면접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 한국어 면접
성신여대 어학우수자 => 한국어면접 + 영어 면접
동덕여대 어학특기자 => 한국어면접
한림대 국제학부 => 한국어면접 + 영어 면접
솔브릿지 국제학부 => 영어면접
인하공전 => 한국어 면접
======================================================================
압구정 EB학원
2018 대입대비 319면접 주제
2018주요시사 주제 내용 5
압구정 EB학원 2018년 대입대비 시사 예상문제&답안
압구정 EB학원 2018년 대입대비 시사 #307 예상문제&답안 3
1. 종교인 과세 이슈 (by oh) 18
2. 택시 대중교통 추진 논란 20
3. 우버택시 찬반 이슈 23
4. 학교폭력 학생부 기재논란 (by JP) 28
5. 정부의 8.2 부동상 대책으로 하우스 푸어 증가 가능성과 이런 가능성을 낮출 대책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30
6 가택 긴급 출입권 논란 33
7 성범죄 참여재판논란 34
8 언론인 선거운동 금지 위헌 논란 35
9 대선 TV토론 자격제한 논란 36
10 재외국민투표 방식 논란 37
11 도서구입비 세제감면 찬반 논란 38
12 휴면예금 활용 논란 39
13 한국의 전 세계나라들과 FTA 협약 이슈(by oh) 40
*
한미 FTA찬반 논쟁 FTA는 Free Trade Agreement(자유 무역 협정)의 약자인데. 한마디로 관세 없애서
우리나라에서 만든 물건 미국에서 자유롭게 팔고, 미국 물건 우리나라에서 자유롭게 판다 <찬성> 40
14 영리병원 도입 논란 ( by JP ) 42
15 송도국제도시 영어 공용화 논란 43
16 연명치료 중단 법제화 논란 (by JP) 45
17 국립공원에서의 음주금지 이슈 49
18 신용카드 결제시 수수료 부과 논란 50
19 동네병원 토요휴진 논란 51
20 자유학기제 찬반논란 52
21 선행 학습 금지 제도화 논란 ( by JP ) 53
22 금강산 관광 재개 찬반 논란 ( by JP ) 54
23 기초연금 시행 찬반 논란 55
24 천연물 신약 찬반 논란 56
25 입양 특례법 개정 찬반 논란 60
26 사설 탐정 (민간조사원) 도입 논란 62
27 공공공사 분리 발주 찬반 논란 63
28 과다노출 등 경범죄 처벌법 개정 논란 63
29 대학 수업 중 노트북 사용 금지 논란 64
30 휴대폰 단말기 보조금 이슈 65
31 세월 발굴을 위한 지하경제 양성화 이슈 66
32 노점상 컵(Cup)밥집 강제 철거 논란 67
33 정치인 체육단체장 찬반 논란 68
34 복권판매 총량 확대 논란( by JP ) 69
35 범죄 지도 제작 논란 ( by JP ) 70
36 외국인 창업비자 도입 논란 71
37 군필자 정년 연장 논란 74
38 대마도 밀반입 불상 반환 논란 75
39 스포츠 토토 공영화 논란 76
40 형사 책임 연령 하향 논란 ( by JP ) 78
41 학원 심야 교습 규제 논란 79
42 술값 인상 논란 80
43 점심시간 유급화 논란 81
44 김정은 정부의 핵무기와 미사일 계발이 한창인 이때 81
독자적 핵무장론 찬반 논란 (by oh) 81
45 대체 휴일제 논란 83
46 영화 제한상영가 등급제 논란 83
47 유치원 CCTV 설치 의무화 이슈 ( by JP ) 84
48 돌고래 방생 논란 85
49 한국사 수능필수 지정 논란 86
50 태아 성 감별 조기허용 논란 87
51 국립대학 법인화가 최선인가 이슈 (by JP) 88
52 셧다운제도(일명신데렐라법) 92
53 안락사 94
54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하여 찬반논란 96
55.문재인 정부의 원전 축소정책에대한논란(by oh) 97
56.남성의 공무원 채용 목표제, 찬반논란(by oh) 99
57. 수능 절대 평가 전환논란 (by JP ) 100
58. 신용카드 발급 제한 논란 105
59 비만세 도입 논란 (by oh) 106
60 근로시간 단축 도입 논란(by JP) 107
61 육아휴직, 근무경력포함논란 108
62 KTX 일부구간 민영화논란 109
63. 중앙선관위의 당내(內) 선거감시감독에대하여 110
64. 공공기관 비정규직 의무 계약직 전환방안( by JP ) 111
65 강제퇴거 금지 법안 논란 111
66. 유통 근로자 명절휴식권 논란 114
67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논란 115
68 뉴타운 재검토 정책 이슈 ( by JP ) 116
69.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정책과 도시 뉴타운정책에 대한 예상 117
70 쿨링오프제(cooling off/청소년게임시간제한) 이슈 119
71 겨울철 야생동물에게 먹이주기 이슈 120
72 병사월급 대폭인상 논란(by oh) 121
73 소비기한(Use by Date) 이슈 123
74 정년연장논란, 임금피크제(by oh) 126
75 화학적 거세 찬반 논란 127
76. 서울시 재건축아파트 소형평 비율 상향방안 이슈 127
77. 휴일 특근비 인상 이슈 128
78. 신용카드 수수료율 규제논란 129
79. 외국인 가사 도우미 이슈(by oh) 129
80. 한국의 사육곰 관련 이슈( by JP) 132
81. 검사장 직선제 도입 이슈 134
82. 유류세(油類稅) 인하논란 135
83. 대기업 출자 총액 제도 이슈 137
84. 경인 고속도로 지하화 민자사업 찬반 이슈 137
85. 사후피임약 일반의약품 전환논란 138
86. 고입 선발고사 선발폐지 이슈 140
87. 은행 ‘변형근로 시간제’ 방안 이슈 141
88. 담뱃갑 경고그림 도입논란 (by JP) 142
90.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확대 이슈 ( by JP ) 142
91. 대학의 편입학 제도 찬반 ( by JP ) 143
92 광화문 현판글씨 표기 한자, 한글논란 145
93 교권도전에 의한 교사의 권위가 날로 추락하고 있는 시점에 교사에게 준사법권 부여 이슈(by oh) 147
94 완전개방형국민참여경선제도(open primary) 도입논란 150
95. 이어도의 날 제정 이슈 151
96 와인 통신판매 허용논란 152
97 서울시 9호선의 민자사업논란 153
98. 경제자유구역 내외국영리병원설립논란 154
99. 어버이날 공휴일 지정 논란 154
100. 갯벌 민영화 논란 156
101. 부동산DTI 규제강화 논란 (by oh) 156
102 학교폭력 가해 사실 학생부에 기재 논란(by oh) 157
103 분권형대통령제도입논란& 삼권분립제도&한국의 삼권분립제도(by oh) 158
104 육군 입대동기 생활관 추진 이슈 160
105 부산 시의회 강제 야간자율학습 금지조례 제정 논란 161
106 서울시공무원반바지, 샌들차림근무 이슈 163
107 경기도 외국인 카지노 설립 추진논란 165
108. 로비스트 양성화 논란 ( by JP ) 165
109 공관병에 대한 갑질문화 근절을 막을 육체노동의 민간위탁방안 논란(by oh) 167
Army chief applies for discharge 167
110 소규모 학교 통폐합 논란 ( by JP ) 170
111 김정은 도발에 대한 자체 핵무기 보유 논란 171
112 대형마트와 SSM 영업시간 제한 논란 172
113 지리산 댐 건설 이슈 174
114 철도 역사 국유화 논란 175
115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논란 ( by JP ) 177
116 경제 자유구역 추가 지정 논란 179
117 F-35A 도입 과정 감사…"조사 대상은 따로 있다" 전투기 선정 과정 논란 180
118 무상급식 당연한 권리 인가 ! 182
119 한국 대중음악 표절의 원인과 해결책 184
120 지방 재정 자립도 악화에 관한 논란 ( by JP ) 186
12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 by JP ) 187
122 흉악범의 초상권 공개를 둘러싼 논란 188
123 통일세 과연 필요한 것인가? ( by JP ) 188
124 자살에 관련된 사이트가 규제에 대한 견해는? 189
125 청소년 성매매 194
126 황사 ( by JP ) 197
127 사이버 범죄 ( by JP ) 200
128 신문고시 203
129 게놈 지도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208
130 의료보험 재정파탄의 원인과 대처 방안 ( by JP ) 211
131 인간 배아복제 연구에 대한 입장 214
132 온라인 세계에서의 만남 218
133 TV드라마에서 부유층과 빈곤층 222
134 병역의무와 가산점 제도 ( by JP ) 225
135 지하철 만성적자와 국가보조금( by JP ) 231
136 한국의 혐오식품 234
137 신호위반과 공공질서 239
138 반일과 일제상품 241
139 공공장소에서의 휴대폰사용금지 245
140 사이버 공간과 인간소외 250
141 남북 경제 협력과 통일 255
142 사이버 공간 실명제 256
143 연예인들의 병역 비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258
144 기부금 입학 찬 반 ( by JP ) 261
145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연예인 추종 행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by JP) 264
146 환율전쟁 (by JP) 267
147.님비증후군 VS 핌피증후군 and 싸드배치 and 장애인학교 설립(by oh) 267
님비 아닌 핌피 … 화성시 6개 마을 화장장 유치 경쟁 270
148 영어 공용화 찬반 ( by JP ) 273
149 교원 평가제 논란( by JP ) 274
150 한국 근대 역사 교과서 수정에 대한 논란( by JP ) 276
151 한국의 역대 대통령들의 비참한 결말을 볼 때 한국의 대통령제 우리에게 맞는 옷인가 278
152 한국의 미디어법에 관한 논란 278
153 오픈 프라이스(Open Price) 제도 279
154. 이마트 피자, 통큰 치킨 281
155. 가계부채 해결을 위한 정책 ( by JP ) 283
156 화학적 거세(castration) 285
157 소셜테이너 출연금지 288
158 초특급 부자에 대한 세금인상 찬반 290
159.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계최가 국가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 by JP ) 293
160 모병제 이슈 (by JP) 295
161 애완동물 치료비에 부가세 부과 ( by JP ) 296
162 노동자에 갑질을 한 대학에 대하여 연좌제적 비난 찬반 298
163 중소기업 적합업종 299
164 아파트내(內) 간접흡연 302
165 교육감 직선제 폐지에 대하여 304
166 술 · 담배 가사 있다고 금지곡 지정 305
167 전세값 상한제 도입해야 하나? 307
168 탈세 연예인 퇴출문제 & 연예인의 도덕성 어디까지 인가? 309
169 DTI(총부채 상환비율, Debt To Income) 규제 필요한가?(by oh) 312
170 고시 폐지 논란 314
171 토빈세(Tobin's tax, 금융거래세)도입여부에 대하여 315
172 프로젝트 파이낸싱 (project financing) 이슈 317
173 외국인 근로자 이직 제한 319
174 한자 교육 기본법 제정 321
175 보석 조건부 영장제 322
176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대하여 324
177 복수 국적 찬반 논쟁 326
178 신용카드 소액결제 거절 법안 327
179 자립형 사립고 폐지 찬반 329
180 디지털교과서 도입 논란 331
181 대중문화 스타들의 고액수입 찬반 333
182 사형제도 찬반 335
183 민영 고속철 도입 / Introducing private railway 336
184 장수 중소기업 상속세 면제 336
185 표준어 규정 폐지 Demoli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337
186 민간 CCTV 설치 제한(by oh) 338
Restricting the installation of private CCTV 339
187 한강 수중보(洑) 철거 논란 Controversy of demolishing the Han river dam 341
188 고교 선택제 이슈 the flexible high school selection policy 342
189 저축은행 명칭 변경 Changing the name of savings bank 344
190 지하철 심야운행 축소 Decreasing the number of midnight operations of the metro 345
191 SNS 선거 운동 규제 347
192 고령 택시기사 규제 348
193 카지노 내국인 출입 허용 350
194 장기 기증 정부보상금 제도 351
195 민통선 자전거길 조성 354
196 전자 주민증 도입 355
197 담배에 통일세 부과 찬반 356
198 현재 4500원의 담뱃값을 예전 가격으로 원상복구 하자는 이슈. 358
199 고졸 의무고용 할당제 360
200 공휴일 요일 지정제 365
201 운동선수 병역특례 이슈 366
202 군 복무 기간 단축 369
203 네이버 규제 입법 추진논란 371
204 밀양 송전탑 건설 ( by JP ) 372
205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논란 ( by JP ) 374
206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대하여 ( by JP ) 374
207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 금지 375
208. 총장 직선제 찬반논란 377
209.담뱃갑에 사진 올리는 것에 대한 찬반 378
210. 성폭력재판에 배심원이 있는 참여재판에 대한 찬반 380
211.개성공단 전면중단 계속되어야 하는가 381
212.로봇세 부과 이슈 382
213 저출산, 인구감소 대응에 이민허용 이슈 383
214 .최저임금 인상 이슈 383
215 .기업의 은행 소유 금지 이슈 385
216 .정치권이 주장하는 개헌 이슈 386
217 .저금리 인하, 또는 유지 이슈 386
218 .공공기업 성과연봉제 이슈 387
219 .사드 배치 찬반 이슈 388
220.동성애 차별금지법 이슈 ( by JP) 390
221. 한국의 주입식교육 이슈 391
222. 인공 지능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 392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가? 392
223. 요즘 닭고기와 달걀등과 같은 먹거리 문제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393
공장식 축산업에서의 동물복지에 대한 이슈 393
224 요즘 닭고기와 달걀등과 같은 먹거리 문제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인공육 열풍이 시사하는 바를 설명해 보시오 ( by JP ) 395
225. 어린이의 스마트폰 중독 이슈 ( by JP ) 396
226. 과학 기술의 장단점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397
227.과학자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398
228.과학 기술자는 책임에 억매이지말고 자유롭게 연구에 매진해야한다는 이슈 399
229.한국의 미세먼지 이슈 ( by JP ) 399
230.공휴일 학원운영을 막는 ‘학원 휴일 휴무제’ 이슈 400
231. 인공지능이 발달하면 할수록 번역에 관한 기술도 발달할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외국어를 꼭 배워야 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하여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00
232. 2017년 한국사회에서 평등과 자유 중 더 중요한 가치는 어디에 두는 것이 401
이치에 맞다고 생각하는지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01
233. 직접 민주주의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면을 구술해 보시오 401
234.다수결의 원리 과연 최상의 의사결정 원리인가에 대한 이슈 402
235. SNS 발달로 ‘디지털 민주주의’란 용어가 대두되는 이때 대중과 정치인의 디지털에 의한 소통이 민주정치에 독 또는 약이 될수있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02
236.중우정치란 무엇이며 중우정치를 막을수 있는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구술해 보시오 403
237. 사드배치 결정후 중국의 한한령에 대한 한국의 대안에 대하여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04
238.카카오뱅크설립으로 초래된 은행산업에서의 메기효과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05
239. 수능절대 평가에 대한 이슈 ( by JP ) 405
240. 페이크 독서시장 활성화와 같은 점을 야기하고 있는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이슈 407
241. 한국만 쓰는 공인인증서,액티브X 꼭 필요한가에 대한 이슈 407
242. 한국의 유리천장 지수 OECD국가중 최하위이 지금 유리천장 지수를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408
243. 인공지능 시대에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은 무엇일지 구술해 보시오. 408
244. 4차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이 발달함에 따라 확대될 직업과 소멸할 직업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409
245. 동물몸에서 인간 장기 배양과 같은 키메라 배아 연구에 대한 이슈 409
246.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이 되는 한국에서 노인들의 지하철 무임승차에 대한 이슈 410
247. 지구 온난화에 의한 문제등은 무엇이 있으며 해결책을 제시하여 보시오. 410
248. 고려대와 같이 성적장학금 대신 학생소득수준에 맞춘 장학금인 소위말해 정의장학금 실시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11
249. 스몰 럭셔리 현상의 이유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411
250. 우리나라가 유독 성형비율이 최고로 높은 이유와 해결책을 제시해 보시오. 412
251. 초등학교 교과서에 2019년부터 한자를 병기할 예정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한자를 교육하는 것에 대한 이슈 ( by JP) 412
252. 가짜 뉴스의 폐해는 무엇이며 가짜 뉴스를 막는 방안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414
253. 2020년 까지 최저시급 1만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에 대한 이슈. 414
254. 계층의 고착화와 관계있는 금수저, 흙수저 논란이 더욱더 뜨거워 지고 있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가난은 개인의 책임인가, 사회의 책임인가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415
255. 한국에서 유독 빈번하게 일어나는 금수저들의 항공기 기내 난동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415
256. 공기업 민영화에 대한 이슈 416
257. 의료 민영화에 대한 이슈 416
258. 동물실험 화장품 판매 금지 이슈 418
259. 한국의 법인세 인상에 대한 이슈 426
260. 실생활 속 인터넷 언어 사용에 대한 찬반 이슈 430
261. OECD국가중 유일한 19세 선거연령을 18세로 낮추는 개정안에 대한 찬반 이슈 431
262. 세계화에 대한 찬반 이슈 435
Globalization: A Brief Overview 436
What is Globalization? 437
International Trade 439
The implications of globalized financial markets 440
Globalization,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442
Myths about globalization 445
The future of globalization 446
263. 패스트 패션에 대한 이슈 447
264. 낙태 에 대한 이슈 450
265. 공기업에서의 파업에 대한 이슈 452
266. 코딩교육과 같은 SW 교육 의무화 이슈 453
267. 한국 인구절벽의 해결 방안에 대하여 구술해 보시오 458
268. 다국적 기업의 종자 지배가 가져올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구술해 보시오. 462
269. 프랑스는 2020년부터 비닐 봉지와 같은 썩지 않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전면금지한다 464
고 한다. 한국에서 환경보호를 위하여 할 수 있는 정부 정책은 무엇이 있을지 구술해 보시오 464
. 465
270. 문재인 대통령은 8.15 경축사에서 2019년이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동시에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해라고 선언했다. 우리나라의 건국일은 삼일운동이 있었던 1919년 이라는 이슈 465
271. 평창올림픽 등의 체육국제행사가 혈세를 낭비한다는 이슈 466
272. 테슬라와 같은 기업의 기업이 가지고있는 특허기술을 무료로 공개하는 것에 대한 이슈 469
273. 무엇이면 이 법안에 대한 찬반 이슈 471
274. 조건 없는 기본소득 찬반 이슈 472
296. 한국의 공권병, 당번병 이슈 /dispute over a housekeeping soldier in korea 477
297. 노키드존 이슈 / dispute over the no kids zone 479
298. 개성공단 전면중단 482
299. 로봇세 부과 이슈 483
301. 최저임금 인상 이슈 484
302. 기업의 은행 소유 금지 이슈 485
303. 정치권이 주장하는 개헌 이슈 487
304. 저금리 인하, 또는 유지 이슈 487
305. 공공기업 성과연봉제 도입 이슈 488
306. 사드 배치 찬반 이슈 489
인도주의적 개입 과연 타당한가 dispute over Humanitarian intervention 490
307.global warming (세계 온난화) by 오쌤 493
308. 2018년 특히 가짜뉴스가 주목받는 이유와 가짜뉴스처벌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할수 있다는 논리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구술하시오 502
309.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들어간다는 것은 거스를수 없는 대세입니다. 503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요소들과 부정적 요소들에 대하여 구술하시오. 503
310. 한국정부는 국내에서 어떠한 다문화 관련정책을 펼처야 할지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503
311. 강원랜드 특혜채용과 같이 공기업 채용비리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구술해 보시오 504
312 공기업뿐만 아니라 금융권에서도 채용비리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 금융권에서도 채용비리가 일어나는 원인과 해결방안을 구술해 보시오. 505
313. 미투운동과 위드유 연대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구술해 보시오. 506
펜스룰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하시오 507
315
올림픽 최초로 남북 단일 하키팀이 구성되었다 단일팀이 한반도를 평화롭게 해줄 수 있으리라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남북 단일팀으로 그
동안 열심히 준비해온 우리 남한선수들의 출전 시간이 줄어든다는 단점도 존재한다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문제들에 대하여 정부는
어떠한 자세나 정책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학생의 의견을 구술하시오. 508
316. 비트코인 규제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510
317.
2018년 2월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총기 난사로 인하여 17명이 사망했다 이사건을 개기로 총기 규제를 해야한다는 여론이 비등한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교사 총기 무장이라는 해결 방안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교사 총기 무장이라는 방안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511
318. 2017년 합계 출산율 평균 1.05명으로 역대 최저인 반면 사망자 수는 역대 최대였다 511
현재의 인구수를 유지할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학생의 의견을 구술해 보시오. 511
319 개방적 이민정책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구술하시오 512
1. 종교인 과세이슈 (by oh)
찬성
- 종교인 비과세는 공평과세와 조세형평주의를위반하는 것. (헌법에 납세의 의무를 이행해야한다. 종교인이 돈을 받고 그 돈을 개인용소비에 쓴다면 이는 분명히 소득이고 세금을 내는 것이 마땅하다.)
- 이중과세 문제는 교인들에게 해당될지는몰라도 목회자에게는 해당사항이 없다.
- 세법에도 종교인 면세 근거 없어(카톨릭- 1983논의,1994 소득세납세결정, 개신교- 1987 켐페인시작)
- 봉사하는 다른 직업들과 형평에어긋나
- 종교인들이 소득세를 안내는 나라는대한민국이 유일
<FOR>
Rendering
people in religion-related occupation tax-free isagainst the fair
taxation and balancing of taxation laws (According to theConstitution,
it is a duty for everyone to pay taxes. If those working inreligion
sectors are receiving their income and are using it on
privateexpenditures, it is clear that they must be taxed as well.)
Dual taxation matters may apply to the believers, but for thereligious leaders it is not a matter.
Regarding tax exemption, there is such statement for religiousleaders.
Does not really balance out with volunteering jobs.
Korea is the only country where religious leaders do NOT paytaxes.
종교자유정책연구원 등 불교계 단체와 시민단체들
▷국민의 뜻을 무시하고 예정된 종교인 과세 시행을 막으려는 점
▷종교인 과세 유예를 주장하여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 점
▷공평과세라는 국민의 상식과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국민에게 실망감을 주고 있는 점
▷입법기관으로서의 국회의원이 헌법과 법률의 취지를 무시하고 외면하고 있는 점
▷국민의 뜻을 대변하지 않고, 종교계 기득권 세력을 위해 국회활동을 하여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고 있는 점 등 5가지를 적시하며 “종교인 과세 유예법안 발의 25명의 국회의원은 국민과 나라다운 나라를 위해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반대
2018년 1월 1일 시행 예정 – 현재김진표 의원과 24명의 국회의원은 종교인 과세 2 년 유예법안발의
김진표 의원 등은 “철저한 준비가 금년 내 마무리되면 내년부터 시행해도 무방하다”면서도 종교인의 세무조사 제외를 조건으로 내거는 등 기존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 종교활동은 근로가 아니라 봉사인만큼 교회로부터 목회자가 받는 돈은 근로소득으로 볼 수 없다.
- 현재 성직자에 대한 세금 부과법적 근거 미비
- 시행 시 걷히는 세금보다 운영비더 소요. (많은 종교인들이 기초생활비에 못미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5만개가 넘는 국내 교회 중 80%에 해당하는 4만여 교회가 자생력 없는 미 자립교회이기에 세금을 걷을 수 있을 것인지 불투명하다.)
- 종교단체에 기부금에 다시 세금을부과하는 것은 이중과세이다.
- 현실적으로 종교단체와 종교인의수입 지출 내역이 투명하지 않아 과세근거 포착이 어렵다.
- 종교계의 반발이경제적손익보다는 권력의 시녀가 될 소지가 있다 (정치인의 표 창구역활)-썰전참조
<Against>
-Working in religious group is volunteer work so itis not an income from working
-There is not enough basis to levy tax on religiousclerics
-It costs more to collect than collected tax
-Taxation on donation is dual taxation
-Currently, religious groups' expense details arehard to catch
OECD 국가 중에서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모든 국가는 종교인 과세를 하고 있습니다.미국의 종교인들은
자영업자 또는 근로 소득자로서 소득세에대한 납세 의무를 하고 있으며, 주세, 연방세는 물론이고,
의료보험세와 사회보장세 등도 모두 부담하고있다
An argument concerning laying tax on a man of religion
<찬성><Pros>
- 종교인 에게만 비과세는 특권
- Non-taxation for a man of religion is privilege.
(현행세법상목사, 승려 등종교인에 대한 면세혜택이 특별히 없음에도 불구하고 관행적으로 비과세됨)
- 종교법인법을 만들어야
- Should make the Religious Corporation Act.
- 세금내면 국민연금과 실업급여, 기초생활보장등의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음
-
They can benefit from National pension, Unemployment benefits,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nd etc. if they pay their taxes.
<반대><Cons>
- 종교활동은 근로가 아니라 봉사->근로소득세불가
- Religious activities are service, not work. -> It isimpossible to receive earned income tax.
- 소득정산이 불가능
-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income.
================================================================
압구정EB학원 대입 영어면접 PQ 필수질문 112문제 & 답변
1. Why did you apply for this department?. 7
2. Explain to us everything you know about the department you applied for. 11
3. Introduce yourself briefly?. 13
4. Tell me about yourself. 16
5. Imagine that today is the first ever day of your University life. How would you introduce yourself to your friends?. 19
6. What's your hobby and talent?. 20
7. What is your specialty? And why?. 21
8. What is your creed?. 22
9. What is the most impressive book you have read?. 23
7. What is your favorite book, and why? (= the most impressive book) 24
8. Explain the most impressive volunteering service you had done. 26
9. Did you do any volunteer works?. 27
10. What is the worst thing you did in your life?. 29
11. Which county do you want to go most and why?. 30
12. What was your favorite subject in High School? Explain why. 31
13. What's your favorite subject?. 33
14. Tell me what you learned at high school. 33
15. What are 3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choosing a job?. 34
16. What would you do during our life if you accomplish your goal? Tell me 3 more things. 35
17. What are your three goals in your life and your eventual objective?. 36
18.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your life among money, honor and work?. 37
19.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rich?. 37
20. If you had ten million won suddenly, what would you do?. 38
21. If you were the principal of my high school, how would you manage the school?. 39
22. If you could be anywhere in the world right now, where would you be?. 40
23. What motivates you to try hard?. 41
24. Are you creative? How and why?. 42
25. What's your happiest and saddest memory?. 43
26. Tell me about your family. 44
27. What is the most memorable moment in your high school life?. 45
28. What's the best memory of your school life? (not related to study) 46
29. How has the Internet changed the way you spend your free time?. 47
30. Why did you choose English as your major?. 48
31. Why Spanish?. 49
32. Give us some details about a situation where you had to take responsibility for someone else. 50
33. Tell us about a difficult situation that you encountered and how you resolved it. 51
34. What accomplishment are you most proud of?. 52
35. Describe some of your past leadership roles and your accomplishments in them. 54
36. Do you think what is the real leadership?. 55
37. Do you think you have leadership skills? Prove it. 56
38. Tell me in detail about an experience where you helped somebody. 57
39. What have you learned from your mistakes? 58
40. What is the greatest personal challenge you have faced during your lifetime?. 59
41. Describe a problem abou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61
42. What is your opinion of university education?. 63
43. What is your opinion about the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activity?. 64
44. Do you think the current school system is fair to all students? If not, what would you do to improve the situation? 65
45. Do you think that teachers are losing their authority in the classroom? If so, why?. 67
46. Are teachers using excessive force as a punishment for any number of reasons?. 68
47.
It is often said that suffering builds character. Using examples from
your reading, observation, studies or experience, explain how a person
grow stronger through suffering. 70
48.
A small change can make a big difference. Choose a small change that
you know about from your studies, reading, observation, or experience
and explain how that change has made a big difference. 72
49. Describe your life in 20 years. 73
50. What is your own definition of success?. 73
51. What life do you want to live?. 74
52. What do you value the most?. 74
53. Describe yourself in one word. 75
54. What word would you choose to describe yourself?. 75
55. What animal would you use to describe yourself?. 76
56. What would you express yourself in a house hold of appliance?. 77
57. What is your goal in life?. 78
58. Why did you apply for this university?. 79
59. Why did you apply for this major?. 80
60. Why do you believe that you need to learn your major?. 83
61. What are your strengths and weaknesses?. 85
62. What is your hobby?. 87
63. What is your favorite color?. 88
64. What is your favorite book?. 89
65. Tell me about your favorite teacher and what you learned most from her. 90
66. What is your motto in life?. 92
67. What is your motto (philosophy) of your life?. 93
68. Explain your life motto and what efforts you have made to put into practice. 93
69. What are your last words?. 94
70. How do you define a global leader? Do you qualify as a global leader?. 95
71. What did you learn in the Philippines and (Europe)?. 96
72. What do you think is the desirable standard of choosing your major?. 97
73. What will you do if your major does not suit your aptitude?. 98
74. Explain your opinion about the desirable image that university faculty and students should seek.99
75. Why do schools obligate volunteer work?. 100
76. Who is your role model, and why?. 101
77. Last year, we had 300 applicants and were only able to accept 8. Why should we accept you?104
78. Why should you be admitted?. 106
79. What would you do if we didn't pick you?. 107
80. Why should I pick you?. 107
81. Why are you here?. 108
82. How are you going to contribute to our society after graduation?. 109
83. What is your plan for studies after you get admitted in our school?. 111
85. How are you going to relate the foreign studies offered by this university to your future? 115
86. How can our school help contribute to your dream?. 116
87. What is your plan to achieve your dream?. 118
88. What do you want to do in the future?. 119
89. 20 years from now, how do you picture yourself?. 121
90.W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did you do?. 122
91.What has been your greatest experience in high-school life?. 124
92.What high-school courses did you enjoy the most?. 126
93.What ar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your personality?. 127
94.ave you ever felt the sense of inferiority in your life? If so, how did you try to get it over? 129
95.Is it possible North & South Korea can be unified independently?. 130
96.In your opinion, what changes will Korea face over the next 10 years?. 131
97.What will be the driving force of Korea's economy growth in ten years and why do you think like that?. 132
98.Tell me the meaning of 군사부일체 in Korean and interpret that in modern perspective. 133
99.Compare life in Korea to the Philippines. 134
100.what is the desirable way of adopting foreign culture for teenagers?. 135
101. What is the biggest interest amongst high school students nowadays?. 136
102. What is your opinion about smoking restriction policy within high-school grounds?. 137
103. What are the cause and solution of overconsumption?. 138
104.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139
105. What do you want to say before you leave. 139
106. What is the most memorable moment in your high school life?. 139
107. What is your reaction when someone says bad things about you behind your back?. 141
108.
You are planning to purchase a car. If all specs and price of domestic
cars and foreign cars are similar, which one would you choose?. 143
109. If you are interested in learning other languages, what language are you interested in? 144
110. What is your opinion that English should be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world?. 145
111. What is the Globalization?. 146
112. Tell me about both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146
===================================================
1. Why did you apply for this department?
우리 학과에 지원한 이유는 무엇인가?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foreign languages and after a long search for
a suitable university to study them that would best prepare me for the
future, I found HUFS and realized that it's exactly the kind of
university that I was looking for. First of all, I like the fact that
HUFS offers a top notch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has a relatively
larger number of foreign professors. Also, HUFS offers opportunities to
learn languages that I can't learn at any other universities such as
Arabic or Vietnamese. I'm sure being able to speak and write in those
languages will enhance my competitiveness a lot in a variety of fields.
For these reasons I believe HUFS is the best in Korea in term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I'm sure HUFS will help me to
achieve my dream which is to become a diplomat one day. A lot of
diplomats and ambassadors, 이원영, 심국웅, 김주억, 김재범, to name a few, are known
to have graduated from HUFS. So, I believe HUFS will show me and teach
me what I have to do to be a diplomat. Also, I once read an article
about HIMUN(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 in Minerva (The
school paper that is issued every 3 months) and thought that this kind
of event and international atmosphere it provides at HUFS would prepare
me perfectly to be a diplomat who are always dealing with international
issues. Finally, I am attracted to HUFS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campus. Such a setting will make it easier for me to get to know many
people. For these reasons, I think HUFS is the best university for me
and that's why I applied to study here.
===============================================================
지방학생들을 위한 실시간 skype tutor 수업 가능합니다

압구정 EB 학원
[대학입시 15 년의전통 since 2004 년 ]
대입 영어면접
대입 한글심층면접
대입 한글일반면접
대입 자기소개서 , 학업계획서 첨삭
[문과 일반 &심층면접전문 & 이과일반면접 전문 ]
상담문의 02-545-6794 / 070 -8118 – 6794
www.ebeb.co.kr